배포할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 연동할 DB를 AWS 생성해보겠습니다.
DB는 MariaDB를 선택했습니다.
AWS RDS란?
아마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MySQL, MariaDB, PostgreSQL, SQLServer 등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운영하지 않고 AWS에 대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정, 운영, 스케일링을 단순하게 하도록 설계된 클라우드 내에서 동작하는 웹 서비스이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를 패치하거나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거나 시점 복구를 활성화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관리 프로세스들을 자동으로 관리한다.
AWS RDS 생성
AWS 로그인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으로 이동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
표준
엔진옵션
마리아DB
템플릿
프리티어
(학습용이기 때문에 비용이 안드는 프리티어 선택)
설정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DB인스턴스 식별자, 마스터 사용자 이름, 암호를 설정한다.
인스턴스 구성
프리티어면 기본을 사용
스토리지
기본으로 제공하는 20GiB 선택
스토리지 자동 조정 기능은 처리량이 급증하여 DB 여유공간이 부족할 때, 자동으로 스토리지를 확장하는 기능입니다.
(필자는 학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토리지 자동 조절 활성화를 체크하지 않았습니다.)
연결
퍼블릭 엑세스
예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퍼블릭 엑세스를 예 로 설정합니다.
기존 VPC 보안 그룹
원하는 바에 따라 기존의 것을 사용해도 되고 새로 생성을 해도 됩니다.
(필자는 기존의 보안그룹을 선택했습니다.)
가용 영역
아무거나 원하는 것을 선
추가 구성
추가 구성을 열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Heidi로 접속해 DB를 생성했습니다.)
보안그룹 설정
외부와의 접속을 위해 보안그룹을 설정합니다.
연결 보안으로 이동해 보안그룹을 클릭해 이동합니다.
인바운드 규칙으로 이동한 후 인바운드 규칙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위치무관으로 3306 포트에 접근할 수 있게 열어줍니다.
(현업에서는 지정해서 사용하지만 학습용이기도 하고 마스터 이름과 암호는 개인만이 알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