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 배포를 위해 AWS의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겠습니다.
생성하기에 앞선 잠깐 EC2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EC2란?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
아마존이 각 세계에 구축한 데이터 센터의 서버용 컴퓨터들의 자원을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아마존으로부터 한 대의 컴퓨터를 임대하는 것이다. AWS가 제공하는 URL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다.
장점
- 용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탄력성이 좋다)
- 사용한만큼 가격을 지불하므로 저렴하다.
- 사용자가 인스턴스를 완전제어 할 수 있다.
-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 스토리지 관리가 효과적이다.
EC2의 인스턴스 생성
1. AWS 회원가입 - 로그인
2. 메인 콘솔 진입 (AWS에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들을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다.)
3. EC2로 이동. 오른쪽 상단의 지역을 서울로 변경(중요)
4. 인스턴스로 이동. 인스턴스 시작으로 생성 시작
5. 단계1 - 운영체제 선택 : 필자는 Ubuntu server를 선택
6. 단계2 - 인스턴스 유횽 선택 : Free Tier 선택 (다른 것을 선택하면 비용 발생)
7. 단계3 -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 수정 없이 넘어간다.
8. 단계4 - 스토리지 추가 : 안내에 따른 최대 크기를 용량에 기입한다.
9. 단계5 - 태그 추가 : 수정 없이 넘어간다.
10. 단계6 - 보안 그룹 : 수정 없이 넘어간다.
11. 단계7 - 인스턴스 시작 검토 : 수정 없이 넘아가고 시작하기를 누른다.
12. 개인 PC에서 EC2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 같은 키 페어가 필요하다. 생성하기를 눌러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하고 새로운 키페어를 생성, 다운로드 한다.
13. 메인 화면을 보면 생성한 인스턴스가 실행 중 인 것을 볼 수 있다. (실행 중이면 리눅스 서버가 동작하는 것 이다.)
키 페어는 서버 접속에 사용되는 중요한 파일이므로 관리를 잘 해야 한다.
키페어를 잃어버리면 인스턴스 종료를 통해 삭제하고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드는 방법밖에 없다.
프리티어는 1년 동안 무료이므로, 1년 후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비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닫아야 한다. (계정 해지)
인스턴스의 IP 부여
인터넷에서 접속을 위한 IP를 부여해야 합니다..
탄력적 IP로 고정 IP를 서버에 부여합니다.
AWS 왼쪽의 사이드바 메뉴에 있는 탄력적 IP로 이동
생성한 인스턴스를 선택 후 오른쪽 상단에 작업을 눌러 탄력적 IP 주소 연결로 이동
실행 중인 인스턴스를 선택 후 연결
인스턴트에 퍼블릭 IPv4의 주소가 표시된다.
퍼블릭IPv4가 고정 IP 주소이다.
고정 IP가 없으면 과금이 부여될 수 있다.
결과 화면
개인적인 부분은 가렸습니다.